문제 1. 말레이시아어

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“나는 네 이웃의 친구이다”라는 문장을 말레이시아어로 번역해보겠습니다.

  1. 단어 분석
    • 나 = saya
    • 너 = anda
    • 친구 = kawan
    • 이웃 = jiran
  2. 주어진 규칙 분석
    • “X의 Y”는 Y + X 순서로 표현합니다.
      예: “네 친구” = kawan anda
    • “X의 Y의 Z”는 Z + Y + X 순서로 표현합니다.
      예: “네 친구의 이웃” = jiran kawan anda
    • “P는 Q이다”는 P + Q 순서로 표현합니다.
      예: “너는 친구다” = anda kawan
  3. 문장 구성
    • “나는 네 이웃의 친구이다”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:
      • “네 이웃” = jiran anda
      • “네 이웃의 친구” = kawan jiran anda
      • “나는 ~이다” = saya + ~
  4. 최종 문장
    • 이를 조합하면 “나는 네 이웃의 친구이다”는 saya kawan jiran anda로 표현됩니다.

따라서 정답은 saya kawan jiran anda입니다.


2. 만주어

1. 동사 패턴 추론

  • 주어진 동사들의 의미가 현재형 (가다, 듣다, 지나치다, 만들다)과 과거형 (갔다, 헤아렸다, 말했다) 두 부류로 나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    • 현재형: 거넘비 (가다), 돈짐비 (듣다), 둘럼비 (지나치다), 아람비 (만들다)
    • 과거형: 거너허 (갔다), 보도하 (헤아렸다), 기수러허 (말했다)
  • 모든 현재형 동사는 “~ㅁ비“로, 과거형 동사는 “~허” 또는 “~하“로 끝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  • 특히, 거넘비 (가다)와 거너허 (갔다) 두 형태를 비교해 보면 “거너-“가 ‘가다’라는 의미의 어근임을 알 수 있습니다. 즉, 두 단어는 각각 [거너- + -ㅁ비]와 [거너- + -허]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2. 형태소 분석

  • 위에서 세운 가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소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현재형: 거너-ㅁ비 (가다-현재), 돈지-ㅁ비 (듣다-현재), 둘러-ㅁ비 (지나치다-현재), 아라-ㅁ비 (만들다-현재)
    • 과거형: 거너-허 (가다-과거), 보도-하 (헤아리다-과거), 기수러-허 (말하다-과거)
  • 따라서, 주어진 번역 과제의 두 단어는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돈지하 = 돈지-하 = 듣다-과거 = 들었다
    • 보돔비 = 보도-ㅁ비 = 헤아리다-현재 = 헤아리다

3. 과거형 추가 규칙 분석

  • 과거형이 “~하”로 끝나는 경우와 “~허”로 끝나는 경우를 둘로 나눠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    • ~하: 보도-하 (헤아리다-과거), 돈지-하 (듣다-과거)
    • ~허: 거너허 (가다-과거), 기수러허 (말하다-과거)
  • “~하”로 끝나는 단어들은 어근의 모음이 [ㅗ], [ㅣ]로 이뤄져 있고, “~허”로 끝나는 단어들은 어근의 모음이 [ㅓ], [ㅜ], [ㅣ]로 이뤄져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이는 한국어에서 어근의 모음조화에 따라 어미 “었/았”이 결정되는 양상과 닮아 있습니다. 즉, 다음과 같은 규칙을 세울 수 있습니다:
    • 만주어의 과거형 어미는 어근에 양성 모음([ㅗ], [ㅏ])이 있으면 “-하“, 어근에 음성 모음([ㅜ], [ㅓ])이 있으면 “-허“이다.

4. 번역 과제 해결

  • 발견한 규칙에 따라 주어진 과제를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    • 말하다 = 말하다-현재 = 기수러-ㅁ비 = 기수럼비
    • 만들었다 = 만들다-과거 = 아라-하 (양성모음) = 아라하
    • 지나쳤다 = 지나치다-과거 = 둘러-허 (음성모음) = 둘러허


3. 태국 문자

정답:


4. 하와이어

1. 단어별 매칭 추론:

  • 명사 매칭:
    • lima → 손
    • pua → 꽃
    • pōpoki → 고양이
    • moku → 섬
  • 숫자 매칭:
    • ʻelua → 두 (2)
    • ʻehiku → 일곱 (7)
    • kanakolu → 서른 (30)
    • kanalima → 쉰 (50)

2. 숫자 패턴 분석:

  • ʻeluaʻehiku는 작은 숫자이고, kanakolukanalima는 큰 숫자입니다.
  • kanakolukana + kolu로 분해하면, kolu가 3이고, kana가 10의 배수를 나타내는 접두사라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.
  • 따라서:
    • kolu → 3
    • lima → 5
    • hiku → 7
    • ʻekolu → 3 (ʻe는 작은 숫자를 나타내는 접두사)
    • ʻelima → 5

3. 추가 매칭:

  • ʻekolu pōpoki → 고양이 세 마리 (ʻekolu가 3이므로)
  • kanahiku pua → 꽃 일흔 송이 (kana + hiku = 7 × 10 = 70)
  • ʻelima lima → 손 다섯 개 (ʻelima가 5이므로)

4. 최종 답변:

  • ʻekolu pōpoki고양이 세 마리
  • kanahiku pua꽃 일흔 송이
  • 손 다섯 개ʻelima lima